🧪 건강검진에서 매독 검사는 왜 받을까?
건강검진에서는 고혈압이나 간기능 검사 외에도
매독 검사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종합검진, 직장검진, 채용검진, 또는 비뇨기과·산부인과 특화 검진에서는 다음 항목이 시행됩니다:
- RPR 검사 (Rapid Plasma Reagin)
- 또는 VDRL 검사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 매독은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혈액검사를 통해 조기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RPR / VDRL은 어떤 검사일까?
용어 | 풀네임 | 설명 |
---|---|---|
RPR | Rapid Plasma Reagin | 매독균이 아니라, 감염이나 세포 손상 시 생기는 지질 항체(reagin)를 측정하는 검사 |
VDRL |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 RPR과 유사한 원리. 검체 처리 방식이 조금 다름 |
✔️ RPR/VDRL은 비특이적 검사로,
매독균 감염 외에도 염증, 자가면역질환, 임신, 고령, 예방접종 직후 등에서 위양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 확진을 위해서는 특이항체 검사(TPLA 등)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매독에 걸리면 어떻게 진행될까? (병기 요약)
병기 | 특징 | 설명 |
---|---|---|
1기 매독 | 단단한 궤양 (경성하감) | 통증 없는 궤양이 생겼다가 수주 내 자연소실. 전염력 매우 높음 |
2기 매독 | 전신 증상 | 손·발바닥 발진, 림프절 비대, 탈모 등 |
잠복기 | 증상 없음 | 항체만 존재. 수년간 지속 가능 |
3기 매독 | 장기 침범 | 심장, 간, 신경계, 골조직 등에 손상 발생 |
신경매독 | 중추신경계 침범 | 시력·청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마비 등 발생 가능 |
✅ RPR 수치 해석 – 역가 기준
역가 수치 | 해석 | 설명 |
---|---|---|
1:1 ~ 1:2 | 경계 또는 과거 감염 | 감염력 낮음. 확진검사 권장 |
1:4 ~ 1:8 | 활동성 의심 | 확진검사 필요. 진료 연계 필요 |
1:16 이상 | 활동성 감염 가능성 높음 | 치료 우선 고려 대상 |
✅ 치료 효과는?
- 치료 전 1:32 → 치료 후 6~12개월 내 1:8 이하로 감소해야 정상 반응
(※ 4배 이상 역가 감소가 치료 성공 기준)
📌 RPR 수치가 올라갈 수 있는 위양성 상황
원인 | 예시 |
---|---|
자가면역질환 | 루푸스, 류마티스관절염 등 |
감염 | 독감, 폐렴, 간염, HIV, 수두 등 |
임신 | 호르몬 변화로 항체 반응 증가 |
고령 | 면역계 이상 반응 증가 |
예방접종 | 접종 직후 일시적 반응 가능 |
약물 | 생물학적 제제, 면역조절제 등 |
✅ 위양성 확률:
- 일반인: 1~2%
- 자가면역, 감염 등 특수 상황: 5~10%
📌 항체검사(TPLA 등)에서 양성일 수 있는 경우
항체검사(TPLA, TPHA 등)는 매독균에 특이적인 항체를 확인합니다.
그러나 양성 소견이 나왔다고 해서 현재 감염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상황 | 설명 |
---|---|
✅ 현재 감염 | RPR도 양성일 경우 치료 고려 |
✅ 과거 감염 | 치료 후에도 항체는 평생 양성일 수 있음 |
✅ 고령자 | 과거 감염 후 자연 회복 가능성 |
✅ 신생아 수직감염 | 항체만 남은 경우 |
✅ 자가면역질환 | 교차반응에 의해 위양성 가능 (드묾) |
📌 병기를 확인하는 방법은?
혈액검사 수치만으로 병기를 정확히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병기 판단은 다음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임상적으로 이뤄집니다.
판단 기준 | 내용 |
---|---|
🔍 문진 | 최근 성관계 시기, 파트너 수, 치료 이력 등 |
👀 증상 유무 | 궤양, 발진, 림프절 비대, 시력/청력 저하 등 |
🧪 검사 수치 | RPR 역가, TPLA 양성 여부 |
🧠 추가 검사 | 신경매독 의심 시 뇌척수액 검사(CSF) 등 시행 |
❗ 병기 불명확할 경우 → 후기 기준 치료(1주 간격 3회 주사)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 RPR 양성이면 어떻게 해야 할까?
RPR이 양성으로 나왔다면, 확진검사 및 치료 여부 판단을 위해 의료기관 진료가 필요합니다.
진료과 | 대상 및 상황 |
---|---|
비뇨기과 | 남성 감염 및 성병 전문 진료 |
산부인과 | 여성 대상, 임신 전후 검사 포함 |
피부과 | 발진 등 피부증상 동반 시 권장 |
성병클리닉 | 익명검사 및 전문 진료 가능 |
상급병원 감염내과 | 신경매독 의심 또는 치료 실패 시 |
✔️ 건강검진 결과지를 지참하면 진료 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 매독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병기 | 치료 약제 | 투여 방식 |
---|---|---|
1기~조기 잠복기 | 벤자틴 페니실린 G 2.4M units | 근육 주사 1회 |
후기 잠복기~3기 | 동일 약제 | 1주 간격으로 3회 주사 |
신경매독 | 수용성 페니실린 G 고용량 | 정맥 주사 10~14일 투여 필요 |
✅ 1회 주사로 치료 가능한 이유는?
- 초기 매독은 아직 체내에 퍼지기 전이기 때문에
페니실린 1회 주사만으로도 완전히 박멸 가능합니다. - 지속형 항생제로서 수일 이상 혈중 농도 유지 → 매독균 제거에 충분
⚠️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반응
야리시-헥스하이머 반응
치료 후 24시간 이내, 발열, 오한,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매독균이 죽으면서 생기는 일시적 면역 반응 → 대부분 1~2일 내 자연 회복
✅ 치료 성공 확인은?
- TPLA는 치료 후에도 양성일 수 있음
- 치료 성공은 RPR 수치가 4배 이상 감소했는지로 판단합니다.
치료 전 | 치료 후 (6~12개월 이내 목표) |
---|---|
1:32 → | 1:8 이하 |
1:16 → | 1:4 이하 |
🔍 Q&A – 자주 묻는 질문
Q. RPR은 양성인데 TPLA는 음성이에요.
→ 위양성 가능성 ↑. 재검사 또는 진료 필요
Q. TPLA가 양성이면 치료가 필요한가요?
→ RPR 수치·증상 유무에 따라 다름. 과거 감염 이력일 수 있음
Q. 치료받았는데 TPLA는 여전히 양성이에요.
→ 정상입니다. 항체는 평생 지속될 수 있습니다
Q. 치료가 잘 됐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RPR 수치가 4배 이상 감소했는지 확인
✅ 최종 요약
- ✔️ RPR/VDRL은 비특이적 검사 → 감염 외 원인으로도 수치 상승 가능
- ✔️ RPR 1:4 이상이면 확진검사(TPLA 등) 권장
- ✔️ 항체 양성은 과거 감염일 수도 있음
- ✔️ 치료는 병기 따라 1~3회 페니실린 주사로 가능
- ✔️ RPR 수치로 치료 경과 판단
- ✔️ 신경매독 의심 시 감염내과 진료 필요
📚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2023년 성병 관리 지침」
- CDC STI Guidelines (2021)
- UpToDate – Syphilis: Diagnosis and Management Overview
📌 다음 포스팅 예고편
건강검진 시리즈 ⑯: CPK와 LDH – 근육과 심장 손상,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근육통, 운동 후 수치 상승, 심근경색 초기 진단까지
흔하지만 잘 모르는 생화학 지표를 완전히 정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