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액검사 시리즈 ⑭ 건강검진 남성 호르몬 검사, 여성 호르몬 검사 해석 ㅣ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난포 자극 호르몬(FSH), 항뮐러관호르몬(AMH)

by twoyulsmam 2025. 4. 28.
반응형

🧪 성호르몬 검사는 왜 할까?

건강검진이나 추가 혈액검사에서
성호르몬 검사를 권유받을 때가 있습니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다는데?",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다는데?"
막연히 걱정되지만,
단순 수치만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남성과 여성 각각 중요한 성호르몬 검사 항목
수치 해석법, 진료 필요성 구별법까지
현직 건강검진 결과상담 간호사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혈액검사 시리즈 ⑭ 건강검진 성 호르몬 검사 해석 ㅣ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난포 자극 호르몬(FSH), 항뮐러관호르몬(AMH)


✅ 남성 성호르몬 검사 항목

📋 주요 항목

항목 설명 정상 범위 (성인 남성)
테스토스테론 (Total Testosterone) 남성호르몬, 근육량, 성기능, 에너지 조절 300~1000 ng/dL
Free Testosterone 활성형 테스토스테론 50~210 pg/mL
FSH (난포자극호르몬) 정자 생성 촉진 호르몬 1.5~12.4 mIU/mL

📌 남성 수치 해석

  • 테스토스테론 감소:
    40대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가능 → 피로, 근육 감소, 성욕 저하
  • 테스토스테론 상승:
    드물지만 스테로이드 약물 사용, 내분비 종양 의심 가능
  • FSH 상승:
    고환 기능 저하(정자 생성 장애) 가능성
  • FSH 감소:
    뇌하수체 기능 저하 가능성

✅ 테스토스테론이 300 ng/dL 미만이거나
✅ FSH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추가 평가가 필요합니다.


✅ 남성에게 "폐경"은 없지만, "갱년기"는 있다

  • 여성은 난소 기능이 급격히 멈추며 폐경이 오지만,
  • 남성은 고환 기능이 서서히 점진적으로 저하됩니다.

✅ 40대 이후부터
✅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매년 약 1%씩 감소합니다.

🧬 남성 갱년기 (Male Andropause)

  • 정의: 남성호르몬 저하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변화
  • 주요 증상:
    → 만성 피로, 근육량 감소, 성욕 감퇴, 복부비만, 우울감, 수면 장애
  • 혈액검사 기준:
    테스토스테론 300 ng/dL 미만 + 관련 증상 시 치료 고려

✅ 여성처럼 급격한 단절은 없고,
✅ 매우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개인차가 큽니다.


✅ 여성 성호르몬 검사 항목

📋 주요 항목

항목 설명 정상 범위 (가임기 여성)
에스트라디올 (E2) 대표 여성호르몬, 난소 기능 반영 주기별 변동
AMH (Anti-Müllerian Hormone) 난소 예비력 평가 (난자 수 지표) 1.0~4.0 ng/mL
FSH (난포자극호르몬) 난소 기능, 폐경 여부 평가 주기별 변동

에스트로겐(Estrogen)과 에스트라디올(E2)의 관계

  • "에스트로겐"은 여성호르몬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 에스트로겐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세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설명
에스트라디올 (E2) 가임기 여성에서 가장 강력하고 주요한 에스트로겐
에스트론 (E1) 폐경 이후 주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
에스트리올 (E3) 임신 중 태반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

✅ 즉, 건강검진이나 일반 혈액검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치"를 본다고 할 때 대부분 '에스트라디올(E2)' 수치를 의미합니다.


✅ 여성 생리주기 단계별 성호르몬 수치 변동

주기 단계 에스트라디올 (E2) FSH
생리 초기 (1~5일) 20~80 pg/mL 3~10 mIU/mL
난포기 (6~12일) 70~200 pg/mL 3~10 mIU/mL
배란기 (13~15일) 150~400 pg/mL 4~20 mIU/mL
황체기 (16~28일) 100~250 pg/mL 1.5~9 mIU/mL

✅ 생리주기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검사 시점이 어디냐에 따라 수치 해석이 달라야 합니다.


✅ AMH(항뮐러관호르몬)로 난소 예비력 평가

  • AMH는 난소 안에 남아 있는 미성숙 난포(난자 씨앗)에서 분비됩니다.
  • 남아 있는 난자의 "수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AMH 수치 (ng/mL) 난소 예비력 해석
4.0 이상 난소 예비력 매우 풍부
2.0~4.0 정상 범위 (연령대별 평균)
1.0~2.0 예비력 감소 시작 (주의)
1.0 미만 난소 예비력 저하 가능성
0.5 미만 심한 난소 기능 저하 가능성

✅ AMH는 생리주기와 관계없이 아무 때나 검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AMH 수치로 폐경 시기 대략 예측 가능?

AMH 수치 (ng/mL) 폐경 예상
2.0~4.0 정상, 10년 이상 남았을 가능성
1.0~2.0 폐경까지 약 5~10년 남았을 가능성
0.5~1.0 폐경까지 약 3~5년 남았을 가능성
0.5 미만 수년 내(1~3년 이내) 폐경 가능성

✅ 단, 개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연도"를 단정할 수는 없고
✅ 대략적 경향성만 참고해야 합니다.


📚 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포인트

구분 추가 설명
테스토스테론 감소 40대부터 매년 1% 정도 자연 감소 가능성
남성 갱년기 폐경처럼 급격한 단절은 없지만 점진적 감소 가능
에스트라디올 변동 생리주기, 폐경 여부에 따라 큰 차이
AMH 검사 난소 예비력 및 폐경 경향성 예측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Q&A)

Q.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으면 무조건 치료해야 하나요?
→ ✅ 증상이 심하고 300 ng/dL 미만이면 반복 검사 후 치료 고려.

Q. 여성 AMH 수치가 낮으면 바로 불임인가요?
→ ✅ 아닙니다. 난소 예비력 감소를 의미할 뿐, 임신 가능성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Q. 남성도 FSH 검사를 하나요?
→ ✅ 네, 정자 생성 장애나 고환 기능 평가를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Q. 총 에스트로겐 검사는 언제 하나요?
→ ✅ 임신 중, 폐경 후, 또는 특수 내분비 질환 의심 시 추가됩니다.


✅ 최종 핵심 요약

  • ✔️ 남성은 테스토스테론, FSH를 종합 평가
  • ✔️ 여성은 에스트라디올(E2), AMH, FSH 수치를 생리주기 기준으로 해석
  • ✔️ 남성은 폐경은 없지만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 여성은 AMH 수치로 난소 예비력 및 폐경 경향성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 ✔️ 수치만으로 단정 짓지 말고, 나이·생리주기·증상과 함께 종합 해석해야 한다

📚 참고문헌 및 출처

  • 대한내분비학회 남성호르몬 저하증 진료지침
  • 대한산부인과학회 난소 기능 평가 가이드라인
  • UpToDate® Clinical Knowledge System – Hormone Evaluation, Estrogen Physiology

📌 다음 글 예고편

"건강검진 결과지에 '매독 검사'가 나오는데, 이거 무조건 걱정해야 할까요?"

건강검진에서 종종 시행하는 성병 검사.
특히 '매독 검사'는 기본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양성' 또는 '의심' 소견이 나오면 깜짝 놀라는 분들이 많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매독 검사 결과 해석법, 양성 시 추가 검사 흐름,
건강검진에서 HIV 검사까지 진행하는 경우는 언제인지

현직 결과상담 간호사 기준으로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