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은 기초 검사부터 시작됩니다.
시력, 청력, 체중, 복부둘레 같은 검사들은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우리 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핵심 지표들이에요.
검진 결과가 정상이더라도 매년의 변화 폭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강검진의 기본이 되는 기초 검사 항목 7가지를
검사 목적부터 결과 해석,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
👁️ 시력 검사
왜 하나요?
시력 저하를 조기에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안경 착용이나 추가 안과 정밀검사로 연결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운전면허 갱신 시 시력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 자동 시력측정기(오토레프)로 양쪽 눈을 측정
- 고령자나 눈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 직접 시력표 보는 수기 검사 병행
운전면허 갱신 시 필수!
- 나안시력 + 교정시력 모두 측정 필요
- 교정시력 기준:
- 1종 보통: 양안 0.8 이상, 각 눈 0.5 이상
- 2종 보통: 양안 0.5 이상
- 시력이 낮게 나올 경우 → 안경 교정, 재검 필요
이상 시 조치:
굴절 이상, 백내장, 안구건조증 등 확인 필요 → 안과 진료 연결 권장
👂 청력 검사
왜 하나요?
노인성 청력 저하, 소음성 난청 등을 조기에 발견해 난청을 예방하거나 조치하기 위함입니다.
어떻게 하나요?
- 방음 부스 내에서 양쪽 귀에 다양한 주파수(Hz)와 음량(dB)의 소리를 들려줌
- 들리는 경우 버튼을 누르는 방식
Hz란?
- 소리의 ‘높낮이’
- 500Hz: 굵은 소리, 4000Hz: 날카로운 고주파
dB란?
- 소리의 ‘크기’
- 10~20dB: 속삭임 / 40dB 이상: 대화음
이상 판정 기준:
- 0~20dB: 정상
- 21~39dB: 경도 난청
- 40dB 이상: 중등도 이상 난청 → 이비인후과 진료 권장
📌 일상에서 TV 소리를 자주 높이거나 대화 중 겹쳐 들리기 힘들다면,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진료 권장!
👁️🗨️ 안저 검사
왜 하나요?
망막, 시신경, 맥락막 상태를 확인해
당뇨망막병증, 고혈압성 변화, 황반변성, 시신경 위축 등의 눈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입니다.
어떻게 하나요?
- 전용 안저 카메라로 눈 안쪽을 촬영
- 건강검진에서는 산동 없이 촬영(무산동 검사)이 일반적
📌 무산동 검사는 간편하지만, 말초 망막 병변은 놓칠 수 있어
이상 소견이 나올 경우에는 꼭 산동 후 안과 정밀검사 필요!
🌡️ 안압 검사
왜 하나요?
녹내장은 자각 증상이 없지만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므로
정기적인 안압 체크가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 공기를 눈에 분사하는 비접촉식 검사가 일반적
- 병원에서는 국소마취 후 접촉식 검사도 시행 가능
정상 수치:
- 10~21 mmHg
- 22 mmHg 이상: 고안압 → 정밀검사 필요
📌 안저검사와 함께 이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안과 진료로 녹내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신장, 체중, BMI, 복부둘레
왜 하나요?
기초적인 성장 상태와 비만 여부, 내장지방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기본 측정입니다.
BMI와 복부둘레는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위험 예측 지표로 사용됩니다.
어떻게 하나요?
- 자동 신장계, 체중계로 측정
- BMI = 체중 ÷ 키²
- 복부둘레: 배꼽 위 2~3cm 지점에서 줄자로 수평 측정
📌 BMI 기준
수치 | 해석 |
---|---|
18.5 미만 | 저체중 |
18.5~22.9 | 정상 |
23~24.9 | 과체중 |
25 이상 | 비만 |
📌 복부둘레 기준
성별 | 기준 |
---|---|
남성 | 90cm 이상 → 복부비만 |
여성 | 85cm 이상 → 복부비만 |
⚠ BMI·복부비만 증가 시 위험 질환
질환 | 설명 |
---|---|
고혈압·당뇨 | 인슐린 저항성 증가, 혈관 손상 유발 |
고지혈증·지방간 | 혈중 지질 이상, 간 효소 상승 |
심혈관질환 |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
수면무호흡증 | 복부 압박으로 인해 호흡 문제 발생 |
관절질환 | 체중 증가로 무릎·허리 부담 ↑ |
✅ 복부비만은 '겉은 괜찮아 보여도' 내부 건강이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
체중은 변하지 않아도 배가 나온 느낌이 든다면 꼭 측정해보세요!
✅ 전체 요약
항목 | 검사 목적 | 이상 시 조치 |
---|---|---|
시력 | 굴절이상, 면허 기준 | 교정시력 기준 미달 시 안경 교체·진료 |
청력 | 난청, 소음 손실 | 40dB 이상 또는 불편감 시 이비인후과 |
안저 | 망막·시신경 상태 | 이상 시 산동 후 정밀 안과 진료 |
안압 | 녹내장 조기 확인 | 22mmHg 이상 → 전문 진료 권장 |
신장·체중·BMI | 비만 지표 | BMI 25 이상 → 생활습관 개선 필요 |
복부둘레 | 내장지방 여부 | 남90↑, 여85↑ → 대사질환 위험 주의 |
💡 기초검사는 건강검진의 시작이자,
작은 이상을 크게 만들지 않기 위한 사전 경고등입니다.
“정상이니까 괜찮다”보다는,
“작은 변화라도 기록해 두자”는 마음으로 받아보세요.